운동 목적
•
체간 안정성을 기반으로 팔을 들고 유지하는 어깨의 안정성 강화
•
높이를 유지하며 신체중심선 조절 능력 향상
•
휠체어에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잡기 훈련
사용 도구 및 사용법
도구 | 사용법 |
저항 밴드 | 양 끝을 손에 쥐고, 밴드 중심을 휠체어 프레임(또는 바닥 고정물)에 고정 |
토닝볼 (2kg) | 한 손에 쥐고 진행하며, 반대 손은 무릎 위 또는 휠체어 손잡이 지지 |
운동 방법
기본 자세
•
허리를 등받이에 붙이고 휠체어 브레이크 고정
•
허리 벨트 착용 권장
•
눈은 정면, 팔꿈치는 살짝 굽힌 상태에서 시작
① 저항밴드 버전
1.
팔꿈치를 약간 굽힌 상태에서 손을 몸 옆에 위치
2.
한쪽 손에 저항밴드를 손에 걸어서 그립의 사용없이 시행 이후에
3.
밴드의 양쪽을 손에걸고 어깨에서 높이까지 들어올림 (가능한 범위까지 실시)
4.
천천히 버티면서 제자리 복귀
5.
10회 × 2세트
② 토닝볼 버전 (피로 시 맨손 대체)
1.
한 손에 토닝볼을 쥐고, 팔을 어깨 높이에서 천천히 들어 올림
2.
어깨 까지 들어올리되,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진행
3.
시선은 정면 고정, 복부 수축 느낌 유지 지속적으로 인지(복부를 등받이쪽으로 당긴다는 인식)
4.
8~10회 × 2세트 (피로도 따라 조절)
코칭 포인트
① 주의 사항
•
어깨 통증 또는 견갑 불안정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맨손/밴드 낮은 저항 버전 우선 적용
•
과도한 거북목 패턴, 견갑 돌출이 나타나면 즉시 강도 조절
•
몸이 한 쪽으로 기울면 보상 움직임(Movement Compensation)을 제한하는 피드백 가이드 지속 제공
② 코칭 tips
•
토닝볼의 경우 뉴트럴 그립이 아니므로 시작과 동시에 삼각근의 협력이 필요함(내재근X, 어깨근육O)
•
팔꿈치 뒤로 밀리지 않게 손과 팔꿈치 일직선 유지
•
시팅 자세에서 등받이에서 등이 뜨지 않도록 지도
•
한 팔씩 먼저 진행 후, 양팔 병행 훈련 가능
③ 상황 별 대체 방법
상황 | 대체 방법 |
밸런스 부족 시 | 한 손 운동 + 반대 손으로 휠체어 프레임 지지 |
어깨 통증 시 | 팔꿈치 살짝 굽히고 반동 없이 맨손 반복, 가동 범위 70도로 제한 |
높은 강도 시 | 양손 토닝볼 → 양손 밴드 교차 진행 |